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<br>여권이 LH 사태 수습을 위해 충격 요법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오늘 하루, 문재인 대통령은 여당 지도부를, 정세균 총리는 관련 장관들을 모두 소집해 수습안을 논의했는데요. <br> <br>어떻게든 성난 민심을 달래야 한다는 위기감이 큽니다. <br> <br>그렇다고, 대표 부동산 대책인 3기 신도시를 포기할 수는 없다보니, LH를 3기 신도시 사업 주체에서 빼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총리실이 검토하고 있는데, 민주당도 LH를 그냥 둘 수는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첫 소식 전혜정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국무총리실이 3기 신도시 추진을 한국토지주택공사, LH가 아닌 다른 곳에 맡기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총리실 관계자는 "문재인 대통령이 지시한 대로 공급대책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추진 주체를 고민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국민 신뢰를 잃은 LH가 3기 신도시 사업 주체로 남아 있으면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 <br>LH 광명시흥사업본부 등은 이미 수사대상이 된 상황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정세균 총리도 LH가 이대로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사업을 대신 맡을 곳이 마땅치 않다는 현실적인 고민도 있습니다. <br><br>여권 핵심관계자는 "3기 신도시를 차질없이 진행해야 하는데 LH 말고 누가 할 수 있느냐"고 반문했습니다.<br> <br>여권에는 신도시 투기 의혹 수사가 일단락되는 대로 LH 조직을 대폭 개혁해야 한다는 공감대도 형성돼 있습니다. <br> <br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이번 기회에 공직사회의 도덕적 해이와 부패를 완전히 뿌리 뽑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." <br><br>여권 핵심 관계자는 "지금 조직으로는 안 된다는 생각"이라며 "구조개혁이 당연히 필요하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> <br>여권 내에서는 주거복지와 도시재생, 주택분양 등 사업분야 별로 조직을 분리해 LH를 사실상 해체하는 개혁안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2009년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합병돼 탄생한 LH는 현재 자산 규모 184조원에 직원 수가 9560여 명에 달하는 거대 공기업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강 민